참가자는 다음의 곡목을 준비해야 한다.
1. 언어가 서로 다른 예술가곡 3곡
① 언어가 서로 다른 예술가곡 2곡
② 김순남 작곡 한국가곡 1곡
(준결선 참가자는 아래 6곡 중 1곡을 반드시 선택해 연주해야 함. 악보는 예비심사를 통과한 참가자들에게 2026년 2월 6일 이전에 전달됨.)
(준결선 참가자는 아래 6곡 중 1곡을 반드시 선택해 연주해야 함. 악보는 예비심사를 통과한 참가자들에게 2026년 2월 6일 이전에 전달됨.)
· 산유화│김소월 시
· 상렬│오장환 시
· 잊었든 마음│김소월 시
· 진달래꽃│김소월 시
· 철공소│김북원 시
· 탱자│박노춘 시
· 상렬│오장환 시
· 잊었든 마음│김소월 시
· 진달래꽃│김소월 시
· 철공소│김북원 시
· 탱자│박노춘 시
2. 오페라 아리아 7곡 (최소 3개 언어 이상)
[1차예선]
① 예술가곡 1곡
② 오페라 아리아 1곡
② 오페라 아리아 1곡
[2차예선]
① 오페라 아리아 2곡
[준결선]
① 예술가곡 2곡(위 ‘과제곡’ 중 1의 ②에 해당하는 한국 가곡 1곡을 반드시 포함할 것)
② 오페라 아리아 2곡
[결선]
① 오페라 아리아 2곡 (오케스트라 협연)
연주 곡목은 참가자가 제출한 레퍼토리 중에서 자유 선택한 아리아 1곡과 심사위원회에서 지정한 아리아 1곡으로 한다(심사위원회가 선정한 아리아 1곡의 곡목은 준결선 종료 후 경연자에게 통보함).
연주 곡목은 참가자가 제출한 레퍼토리 중에서 자유 선택한 아리아 1곡과 심사위원회에서 지정한 아리아 1곡으로 한다(심사위원회가 선정한 아리아 1곡의 곡목은 준결선 종료 후 경연자에게 통보함).
단, 주최측에서 결선곡의 오케스트라용 악보 준비가 어려울 경우, 참가자는 직접 악보를 제공하거나 레퍼토리 변경을 요청받을 수 있다.
[유의사항]
1. 1차예선, 2차예선, 준결선, 결선의 곡목은 중복되어서는 안 된다. 단, 결선에서 심사위원회가 선정한 아리아 1곡은 중복될 수도 있다.
2. 심사위원회의 별도 요청이 없는 한, 모든 작품은 악보 없이 암보로 연주한다.
3. 모든 레퍼토리는 원어로 연주하고 오페라 아리아는 원어, 원조로 연주한다.
4. 오페라 아리아에 레치타티보가 선행되거나 카발레타가 따르는 곡인 경우에는 아리아에 포함시켜 연주한다.
5. 프로그램의 연주 순서는 경연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6. 제출된 프로그램의 변경은 2026년 2월 13일(금)까지 사무국에 서면으로 통보하여 사무국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 한하여 가능하다.
7. 모든 연주는 일반에 공개된다.


